
모빌리티 업계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친환경 클린 모빌리티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 외에도
재활용율을 높이고, 폐기물을 관리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오늘 살펴볼 현대모비스도 지난 2012년,
환경부와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 및 재활용 자발적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폐기물 회수 및 관리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2025년 폐기물 재활용 90%,
2030년 국내외 전 사업장
매립 제로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폐기물 사전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폐기물 배출 전 과정을 적법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부에 보고하고, 폐기물 처리 업체의
정기 점검을 진행하며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자원 선순환을 위해 현대모비스가
폐기물 배출 전 과정을 관리하고
폐지, 고철, 폐합성수지 재활용 확대에 동참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탄소중립이라는 근본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순환 경제를 구현하고 있는 현대모비스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
현대모비스의 ESG 경영, 함께 알아볼까요?
📌 현대모비스의 ESG 경영
1. 현대모비스의 폐기물 관리 현황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이
2022년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국제 안전 검증 시험 기관 UL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을 받았습니다.
기관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다시 자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합니다.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은
폐기물 재활용률 96.8%를 인증받아
골드 등급을 획득했답니다.
이는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 사례인데요.
2020년 59.4%에서 2021년 63.6%를 넘어서
2022년 77.1%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이뤄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이에 그치지 않고 2030년까지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2. 현대모비스의 폐기물 관리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국내외 생산사업장을 기준으로
약 290만톤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원부자재 사용을 절감하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재생원료 사용 비율을 높이고,
재생 가능한 원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세분화된 관리를 통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납 대체품을 공정에 도입함으로써
지정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하고 있으며,
철과 알루미늄 같은 금속 스크랩을 재활용하고,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불용 팔레트와
폐부품을 지속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폐합성수지의 연료화를 통해
재활용을 적극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국내 기준
재활용률 77.1%를 달성하였습니다.
3. 1,435.5톤의 폐기물이 만든 임팩트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리더뉴와 임팩트콘 연구소는
현대모비스가 폐기물 관리를 통해 만든 가치를
추가로 도출해 보았습니다.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에서 2021년 발생한
폐기물의 총량은 2,967톤입니다.
이 가운데 2,871톤을
폐지와 고철, 폐합성수지류 등을
원자재나 원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다시 자원화하여 재활용하였고
이에 따라 폐기물 재활용률
96.8%를 인증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2,871톤의 폐기물 관리를 통해
총 3억 1천 8백만원 이상의
매립비용을 절감했습니다.
나아가 재활용이 가능한
고철 폐기물의 양을 고려했을때
현대모비스는 한 해 동안 폐자재 관리를 통해
4억 9천 3백만원의 가치를 창출한 셈입니다.
---
기업들은 기후 위기 등으로 가중되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ESG경영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ESG 경영이 가져다주는 정량적인 결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리더뉴와 임팩트콘 연구소는
기업 및 기관의 ESG 프로젝트가
그 임팩트를 효과적으로 창출해낼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뢰받고 지속가능한 미래가 그려지는
임팩트를 창출하고 싶다면
임팩트콘과 함께 그 과정을 시작해보세요!
임팩트 가치 창출 의뢰하기
리더뉴는 현대모비스에 이어
다음 기사로 찾아올게요!
--
Editor. neul
모빌리티 업계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친환경 클린 모빌리티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 외에도
재활용율을 높이고, 폐기물을 관리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오늘 살펴볼 현대모비스도 지난 2012년,
환경부와 ‘플라스틱 폐기물 회수 및 재활용 자발적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폐기물 회수 및 관리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2025년 폐기물 재활용 90%,
2030년 국내외 전 사업장
매립 제로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 사업장을 대상으로
폐기물 사전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폐기물 배출 전 과정을 적법 처리 시스템을 통해
정부에 보고하고, 폐기물 처리 업체의
정기 점검을 진행하며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자원 선순환을 위해 현대모비스가
폐기물 배출 전 과정을 관리하고
폐지, 고철, 폐합성수지 재활용 확대에 동참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탄소중립이라는 근본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순환 경제를 구현하고 있는 현대모비스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
현대모비스의 ESG 경영, 함께 알아볼까요?
📌 현대모비스의 ESG 경영
1. 현대모비스의 폐기물 관리 현황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생산하는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이
2022년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국제 안전 검증 시험 기관 UL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을 받았습니다.
기관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다시 자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합니다.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은
폐기물 재활용률 96.8%를 인증받아
골드 등급을 획득했답니다.
이는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 사례인데요.
2020년 59.4%에서 2021년 63.6%를 넘어서
2022년 77.1%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이뤄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이에 그치지 않고 2030년까지
전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2. 현대모비스의 폐기물 관리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국내외 생산사업장을 기준으로
약 290만톤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원부자재 사용을 절감하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재생원료 사용 비율을 높이고,
재생 가능한 원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세분화된 관리를 통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납 대체품을 공정에 도입함으로써
지정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하고 있으며,
철과 알루미늄 같은 금속 스크랩을 재활용하고,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불용 팔레트와
폐부품을 지속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순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폐합성수지의 연료화를 통해
재활용을 적극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국내 기준
재활용률 77.1%를 달성하였습니다.
3. 1,435.5톤의 폐기물이 만든 임팩트
(사진 출처: 현대모비스)
리더뉴와 임팩트콘 연구소는
현대모비스가 폐기물 관리를 통해 만든 가치를
추가로 도출해 보았습니다.
현대모비스 창원공장에서 2021년 발생한
폐기물의 총량은 2,967톤입니다.
이 가운데 2,871톤을
폐지와 고철, 폐합성수지류 등을
원자재나 원료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다시 자원화하여 재활용하였고
이에 따라 폐기물 재활용률
96.8%를 인증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2,871톤의 폐기물 관리를 통해
총 3억 1천 8백만원 이상의
매립비용을 절감했습니다.
나아가 재활용이 가능한
고철 폐기물의 양을 고려했을때
현대모비스는 한 해 동안 폐자재 관리를 통해
4억 9천 3백만원의 가치를 창출한 셈입니다.
---
기업들은 기후 위기 등으로 가중되는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ESG경영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ESG 경영이 가져다주는 정량적인 결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리더뉴와 임팩트콘 연구소는
기업 및 기관의 ESG 프로젝트가
그 임팩트를 효과적으로 창출해낼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뢰받고 지속가능한 미래가 그려지는
임팩트를 창출하고 싶다면
임팩트콘과 함께 그 과정을 시작해보세요!
임팩트 가치 창출 의뢰하기
리더뉴는 현대모비스에 이어
다음 기사로 찾아올게요!
--
Editor. neul